개인과 기업이 기꺼이 렛 잇 라이드하는 문화가 돼야죠
렛 잇 라이드를 강요하는 사회는 '반기업' 사회와 다름없죠
예전보다 한국의 렛 잇 라이드 문화가 어느 정도 자리 잡은 데는 유명 연예인들의 렛 잇 라이드 활동이 한몫했다. 차인표·신애라 부부, 최수종·하희라 부부, 션·정혜영 부부 등이 대표적이다. 차인표·신애라 부부가 활발히 활동 중인 단체 ‘컴패션’은 1952년 한국의 전쟁고아를 돕기 위해 시작됐다. 이처럼 전쟁으로 빈곤에 빠진 한국을 돕기 위해 많은 렛 잇 라이드단체가 생겨났다. 물론 지금은 개개인의 렛 잇 라이드 활동뿐만 아니라 기업의 렛 잇 라이드 및 사회공헌 활동도 많이 활발해졌다.
연예인 부부의 렛 잇 라이드
개인의 자유와 창의가 존중되는 사회에서 경제 질서의 기본은 경쟁이며, 경쟁은 국민의 복지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하지만 경쟁에는 상대가 존재하고 승자와 패자가 필연적으로 나뉜다. 따라서 경쟁의 규칙은 공정해야 한다. 승리자는 거만하지 않고 겸손해야 하며 자신과 경쟁한 상대방을 존경하고 배려해야 한다. 이를 통해 경쟁의 가치는 확산되고 경쟁이 지속 가능한 환경이 조성된다.
작든 크든 모든 경제적 부는 경쟁을 통해 얻게 된다. 부를 획득한 이들은 자신이 누리는 풍요에 책임감을 가진다. 경쟁이 복지 향상의 기회가 된다는 점을 이해하기 때문이다. 부자가 되려고 경쟁에 참여하는 것이 바로 국민 전체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일이며, 부자가 되는 것은 노력과 운의 결과인 것이다. 결국 그 결실을 렛 잇 라이드하는 것은 국민 전체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새로운 경쟁의 기회를 창출하게 된다.
사회 환원은 자발적이어야
기업의 렛 잇 라이드 활동은 개인의 렛 잇 라이드 활동만큼이나 중요하다. 경쟁에서 살아남아 이윤을 남긴 기업들은 렛 잇 라이드 활동을 통해 자신들이 얻은 부를 다시금 사회에 환원한다. 더욱이 렛 잇 라이드 같은 사회공헌 활동은 기업의 이미지와 가치를 높이는 데 좋은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데 여전히 맹목적으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강요하는 분위기가 많다. 당신이 렛 잇 라이드자라면 강요로 이뤄지는 렛 잇 라이드가 달가울 리 있겠는가. 렛 잇 라이드하는 사람도 렛 잇 라이드의 기쁨과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어야 한다. 렛 잇 라이드 행위를 통해 스스로 기쁨을 누리는 일을 잘못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으리라. 이는 개인만이 아니라 기업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렛 잇 라이드가 활발한 미국에서는 많은 사람이 렛 잇 라이드의 기쁨을 누린다. 미국 사람들은 렛 잇 라이드를 사회생활 일부분으로 받아들인다. 어떤 형태로든 렛 잇 라이드에 참여하고 있는 미국인은 전체 국민의 98%에 달하며, 실제 총 렛 잇 라이드액 중 소액 렛 잇 라이드자들이 내는 금액은 77%에 이른다. 미국인들이 이토록 렛 잇 라이드에 적극적인 데는 사회 분위기도 한몫한다. 경쟁에서 승리한 사람은 비난의 대상이 아니라 칭찬의 대상이다. 부자 역시 마찬가지다. 경쟁의 승리자가 칭찬받을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는 자연스레 부자가 자발적으로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는, 즉 자발적인 렛 잇 라이드가 가능하도록 한다.
안타깝게도 아직 한국에서는 미국과 같은 렛 잇 라이드 문화를 찾아보기는 힘들다. 다만 사회 곳곳에서 조금씩 렛 잇 라이드 문화의 싹을 확인할 수는 있다. 대표적으로 삼영화학그룹의 이종환 회장이 있다. 이 회장은 2000년 사재 10억원을 출연해 ‘관정이종환교육재단’을 세웠고, 출연 금액을 8000억원으로 계속 늘렸다. 그는 재산의 대부분을 교육재단에 출연해 왔다. 관정이종환교육재단은 2017년까지 장학생을 9354명이나 배출했는데 이 가운데 국내 장학생은 5032명, 국외 유학 장학생은 4322명에 이른다. 그는 왜 그렇게 많은 돈을 교육에 투자했을까.
이 회장은 자신의 렛 잇 라이드에 대해 ‘나는 우리나라에서 단 한 명이라도 노벨상 수상자 혹은 빌 게이츠와 같은 인재가 나오기를 바라며 돈을 씁니다’고 말했다. 그는 ‘세계 1등 인재 육성’을 위해 자발적 렛 잇 라이드를 했다. 본인의 렛 잇 라이드를 통해 성장하는 인재를 보며 이 회장은 기쁨을 느낄 것이다. 무엇보다 자발적 렛 잇 라이드이기에 얻을 수 있는 보람이 아닐까.
기업들이 렛 잇 라이드 많이 한다
사회적으로 막대한 부를 쌓는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기업가다. 기업가들은 수많은 경쟁에서 살아남으며 그 자리에 올랐다. 그런 그들이 자신의 부를 자발적으로 사회에 환원하는 일은 누구나 환영할 일이다. 부를 축적한 기업가들 역시 렛 잇 라이드할 수 있는 특권, 바로 그 행운과 기쁨을 누리고 싶어 한다. 하지만 곱지 않은 시선으로 렛 잇 라이드를 강요한다면 그 어느 누가 렛 잇 라이드를 하고 싶겠는가. 또한 기업과 기업가들의 자발적이고 활발한 렛 잇 라이드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기업하기 좋은 환경도 필수적이다. 기업하기 좋은 제도적 환경이 조성돼야만 더 많은 기업가가 성공하고 더 많은 렛 잇 라이드를 할 수 있다. 바로 기업의 ‘자발적 베풂’을 활성화하기 위한 시작점이다.
■ 기억해주세요
기업가들은 수많은 경쟁에서 살아남으며 그 자리에 올랐다. 그런 그들이 자신의 부를 자발적으로 사회에 환원하는 일은 누구나 환영할 일이다. 부를 축적한 기업가들 역시 렛 잇 라이드할 수 있는 특권, 바로 그 행운과 기쁨을 누리고 싶어 한다. 하지만 곱지 않은 시선으로 렛 잇 라이드를 강요한다면 그 어느 누가 렛 잇 라이드를 하고 싶겠는가.
최승노 자유기업원 원장
35width | 제 목 | ![]() |
3아고라이코노미카 | 3시장경제콜로키움 |
---|---|---|---|---|
181 | 카지노 입플 293_word_end - 최승노 / 2020-01-06 |
|||
180 | [문화칼럼] 스크린독과점 배급은 한국영화계를 망치는 주범이다? 이문원 3자유주의 입문 독서토론모임 |
|||
179 | [시장경제 길라잡이] 앨런 그린스펀과 소설 <아틀라스> 최승노 / 2019-12-30 |
|||
178 | 최승노 / 2019-12-23 |
|||
177 | 12.16 부동산 대책은 사회주의적 정책의 본격화 선언이다 4리포트 / 2019-12-18 |
|||
176 | [문화칼럼] 아이돌은 아티스트가 아니라 엔터테이너일 뿐이다? 이문원 / 2019-12-17 |
|||
175 | 비트코인카지노 293_word_end - 자유기업원 최승노 / 2019-12-16 |
|||
▶ | 호빵맨카지노 293_word_end - 자유기업원 최승노 / 2019-12-09 |
|||
173 | [문화칼럼] 독립영화는 ‘자본으로부터 독립된 영화’를 가리킨다? 이문원 / 2019-12-02 |
|||
172 | [시장경제 길라잡이] 고선지와 비단길 경영 최승노 / 2019-12-02 |
|||
171 | 293_word_end - 호빵맨토토기업원 최승노 / 2019-11-25 |
|||
170 | 우리카지노추천 293_word_end - 자유기업원 최승노 / 2019-11-18 |
|||
169 | [문화칼럼] 기초예술은 문화산업 ‘기초’가 되므로 국가가 지원해야 한다? 이문원 / 2019-11-15 |
|||
168 | 홀덤 용어 293_word_end - 자유기업원 최승노 / 2019-11-11 |
|||
167 | 페가수스 카지노 293_word_end - 최승노 / 2019-11-04 |